경제타임즈
이창용, 추경 언급에 "중앙은행 독립성 강조"

[BANNERAREA50CD]그는 또 "추경 언급이 정치적 중립성 논란을 일으켰지만, 시간이 지나면 제 결정의 옳고 그름을 평가할 것"이라며, "중앙은행가는 정치적 중립을 유지해야 한다"는 기본 원칙을 상기시키면서도, "경제학자는 때로는 정치인만큼 현실적일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이는 경제 정책과 정치적 현실을 고려한 결정이 중요하다는 그의 입장을 반영한 발언이다.

이창용 총재는 글로벌 경제 성장에 대한 우려도 표명했다. 그는 "IMF는 내일 세계 경제 성장률 전망을 상당히 하향 조정할 것"이라며, "한국도 예외는 아니며, 수출 중심 구조를 가진 우리 경제는 대외 환경 변화에 특히 취약하다"고 진단했다. 특히 주요 국가들의 관세 인상은 한국의 수출에 직간접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한국 기업들이 해외에서 생산하는 수출품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또한 이 총재는 한국 경제가 직면한 외환과 환율 문제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그는 계엄 사태 이후 국내 경제와 환율에 미친 영향에 대해 "중앙은행이 정부로부터 자유롭고 정치적 독립성을 확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며, 한은은 정치적 중립성을 지키며 객관적인 정책 방향을 제시했다고 말했다. 그는 특히 "정치적 불확실성 속에서 중앙은행이 가장 필요한 시점에 균형 잡힌 평가와 정책을 제공할 수 있었다"고 평가했다.
이 총재는 "국내 정치 불확실성이 대외 환경 변화로 인한 경제 어려움을 가중시키고 있지만, 복잡한 지정학적 긴장과 무역 갈등 속에서도 굳건한 한미 관계가 한 단계 더 발전할 것이라 확신한다"고 전했다. 이는 한국 경제의 향후 전망에 대한 신뢰를 나타내는 발언이었다.
한편, 이 총재가 수상한 FPA 메달은 국제사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책임감 있는 글로벌 리더십을 보여준 인물에게 수여되는 상으로, 그가 세계 경제에 미친 영향력을 인정받은 결과이다. 역대 수상자로는 장클로드 트리셰 전 유럽중앙은행 총재, 폴 볼커 전 미국 연방준비제도 의장, IMF의 크리스탈리나 게오르기에바 총재, 존 윌리엄스 뉴욕 연방준비은행 총재 등이 있다.